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 [HWPL]

   9.18 만국회의 생중계 방송 http://www.warpsummit.org/ko


 

 

전.현직 대통령이 대거 참석하는 만국평화회의 평화국제 대회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 

평화 실현을 위한 공동 협력 : DPCW를 통한 평화 사회 건설

HWPL은 평화 사업의 계획, 집행, 관리를 통해 지역(local), 국가(national), 국제
적(global) 차원에서 협력하는 개인, 청년 및 여성을 포함한 시민사회단체, 정부,
국제기구 등의 모든 행위자(actors)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화 실현을 위한 공동
협력’은 지구촌의 모두가 평화의 사자가 되어 평화의 세계를 함께 만들어 가는 의
미를 담고 있다.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이 2018년 9월 17일부터 9월 19일까지 3일간 대한
민국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행사는 2014년부터 매년 전 세계의 정치, 종
교, 청년, 여성, 언론 및 시민사회단체 등 각 분야의 지도자들이 함께 모여 현 시대
의 지구촌 공동의 목표인 평화를 이루기 위한 구상과 실천을 논의해왔다. 올해는 '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을 기반으로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국제
협력, DPCW의 UN 결의안 상정과 국가 차원의 지지, 믿을만한 경서 찾기 문화,
평화교육, 청년/여성/언론 평화 네트워크 등 각 전문 분야 계층을 통한 전방위적
평화 실현의 발전 동력을 모색할 것이다.
 
HWPL은 지구촌의 평화의 해결책으로서 1) 전쟁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
써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평화의 질서를 위한 UN 결의안 상정을 통한 국제법 제정
과 2) 인류 세계를 이끄는 영적 차원의 문제를 다루는 종교의 화합, 3) 세계 시민으
로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인성 함양을 위한 평화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바탕
으로 HWPL은 평화 세계를 이루는 주체를 지구촌의 시민, 즉 모든 개인으로 보고, 

 
1. 2014년 9월 17-19일, 전쟁 종식과 세계평화를 목표로 한 HWPL은 ‘종교대통
합 만국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행사에서 평화를 위해 세계의 정치 지도자들은
국제법 제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협력할 것을, 종교 지도자들은 신의 가르침
에 따라 하나가 되어 평화에 이바지 할 것을 약속하며, 2014년 9월 18일 서울
63빌딩에서 ‘전쟁종식 세계평화 국제법 발의안 지지’와 ‘종교대통합 평화 협약’
에 서명하였다.
 
2. 2015년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앞에서 종교대통합 만국회의 1주년 기념
식이 열렸다. 이 행사에서 HWPL ‘국제법 제정 평화위원회’가 공식 발족하여
지구촌의 분쟁을 지양하고 전쟁을 예방하는 국제법 제정을 위한 실질적인 논
의 단계로 돌입하여, 2016년 3월 14일에는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
(DPCW) 10조 38항이 공표되었다. DPCW의 근본 정신은 힘(power)이 아닌
법(law)의 공평한 통치(governance)이며, 1조에서 7조는 국가의 역할을, 8조
에서 10조는 정부, 종교, 언론, 교육, 여성 등 국제사회의 평화적 질서를 창조
하기 위한 지구촌 전체 구성원의 협력이다.
 
3. 2016년 ‘종교대통합 만국회의 2주년 기념식’에서는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
언문’(DPCW)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법안으로 상정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
다. 그 결과로서 DPCW의 국제법 제정을 위한 전세계적인 지지와 촉구로서
‘레지슬레이트 피스’(Legislate Peace) 캠페인이 시작되어 1년 동안 170개국
100만명이 참여하였다.
지구촌을 구성하는 모든 사람이 평화의 사자가 되어 전쟁 없는 평화의 세계를 후
대의 유산으로 만드는 일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세계 170개국에서 1) 국제법
제정 촉구 (Legislate Peace) 캠페인 2) 종교연합사무실을 통한 종교 경서 비교연
구 3) HWPL 평화학교 제정과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 컨셉 노트

 



지난 세기 지구 역사상 가장 큰 전쟁의 교훈으로서, 인류는 전쟁 없는 세계에 대한
열망을 바탕으로 평화를 이루기 위한 지구촌 공동의 노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전 세계는 다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으며, 이후 국가간
의 분쟁 역시 이념의 극한 대립과 국익의 충돌 등으로 영구적 평화에 대한 지구촌
의 염원이 좌절되었다.
 
오늘날 분쟁의 일상화에 따른 공포가 더욱 확대되고, 개인의 삶을 위협하는 분쟁
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념을 넘어 민족, 종교, 경제 등 비정치적 요소로 인해 분쟁
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분쟁을 유발하는 행위자(actors) 역시 국가에서
비국가단체와 개인으로 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과 상호연
결의 현상은 분쟁의 범위를 특정 국가에서 지역은 물론 지구 전체로 확대될 수 있
는 가능성을 높이게 하였다.
 
따라서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전쟁을 포함한 폭력적 형
태의 분쟁에 대한 해결 역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국제사회는 문화, 종교, 민
족, 경제, 환경 등 비정치적 영역에서의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 국 정부와 정부간기구(IGO)는 물론 비정부기구와 개인이 참여하는
분쟁 해결을 위한 다양한 행위자(actors)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마찬가지로 상
호의존과 상호연결의 세계화는 분쟁의 위협에 대응하는 평화를 위한 지구촌 공동
의 노력이 국가의 차원을 넘어 지구촌 전체의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 또
한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17년에는 ‘DPCW의 발전과 실행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란 주제
로 ‘종교대통합 만국회의 3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중미의회에서의 DPCW 10
조 38항에 대한 지지 결의안이 통과된 것을 바탕으로 UN을 비롯한 국제기구
에서의 DPCW에 대한 인식 확대와, 종교 경서 비교 연구의 핵심인 ‘믿을만한
경서 기준 합의’에 대한 발표, 국제 평화 언론 공동체 구상 등 평화 세계의 실
현을 위한 국제기구, 정부 및 시민사회의 네트워크 및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9.18 만국회의 4주년 기념식 컨셉 노트

 

지난 2017년 ‘DPCW의 발전과 실행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HWPL은
세계적인 차원에서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 정부 및 시민사회의 참여를 촉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는 국가수반, 관료, 종교지도자, 시민사회 단체 대표, 언론, 여
성, 청년 등 사회를 구성하는 전 계층의 참여와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지구촌을 구
성하는 지역사회 차원에서부터 DPCW의 실제적 적용 평화 실현에 더욱 발전적
모델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평화 실현을 위한 공동 협력 : DPCW를 통한 평화 사회 건설’을 주제로 1)
DPCW의 법제화와 실현을 위한 HWPL 자문위원의 역할 논의 2) DPCW의 UN
결의안 상정을 위한 국가(national), 지역(regional) 차원의 지지 3) 종교간 대화
를 통한 믿을만한 경서 찾기 문화 확산을 위한 세계 종교연합사무실에서의 경서
비교 연구에 대한 성과 소개 및 향후 방향성 제시 4) 평화문화의 확산을 위한 평화
교육의 시행과 교육자의 역할 모색 5) DPCW의 원칙에 기초한 사업(projects)으
로 여성, 청년, 언론 등 각 분야의 “지구촌 모든 구성원이 평화의 사자”가 되는 실
현 가능한 활동 계획이 논의될 예정이다.
주최 및  행사 조직  협력단체 

이번 행사를 주최하는 HWPL은 UN 공보국 및 경제사회이사회 특별지위협의, 대
한민국 서울특별시에 등록된 NGO이다. 주관은 HWPL의 산하기관인 IPYG와
UN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IWPG이다. 
올해에도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정부 및 민간 단체의 협력이 이어질 예정이다